한국에서 살아보기 - 외국인이 장기 거주할 때 알아야 할 것들
한국은 현대적인 도시 생활과 전통 문화가 공존하는 매력적인 나라로,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한국에서 장기 체류하려면 비자, 주거, 의료, 금융, 생활 문화 등 다양한 요소를 사전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오래 거주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1. 비자 및 체류 허가
주요 비자 종류
한국에서 장기 거주하려면 본인의 목적에 맞는 비자를 선택해야 합니다.
비자 유형대상특징
D-2 (유학비자) | 대학생 | 한국 대학(석·박사 포함) 입학 시 필요 |
D-4 (어학연수비자) | 한국어 학습자 | 어학당 등록 후 발급 가능 |
E-2 (어학 교사 비자) | 영어권 국가 강사 | 한국에서 영어 강사로 근무 시 필요 |
E-7 (전문직 비자) | 기술·전문직 근로자 | 특정 전문 직종 종사자를 위한 비자 |
F-2 (거주 비자) | 장기 체류자 | 일정 조건 충족 시 장기 체류 가능 |
F-6 (결혼 비자) | 한국인 배우자 |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을 위한 비자 |
비자 신청 방법
- 대한민국 이민청(https://www.hikorea.go.kr)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- 한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 방문 신청 필요
- 장기 거주 시 외국인등록증(ARC, Alien Registration Card) 필수
📌 TIP: 한국에 도착한 후 90일 이내에 외국인등록증을 신청해야 하며, 이를 통해 은행 계좌 개설, 휴대폰 개통, 의료보험 가입 등이 가능해짐.
2. 주거 찾기 - 어디에서 살 것인가?
주거 형태
한국에서는 다양한 주거 형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주거 형태 | 특징 | 평균 월세 (서울 기준) |
고시원 | 저렴한 원룸형 숙소, 공동 욕실 사용 | 30~60만 원 |
원룸 | 작은 개인 공간, 학생 및 직장인 선호 | 50~100만 원 |
오피스텔 | 원룸보다 넓고 시설이 좋은 주거형 공간 | 70~150만 원 |
아파트 | 가족 단위 거주, 시설이 좋지만 비쌈 | 100~300만 원 |
쉐어하우스 | 여러 사람이 공동 거주하는 공간 | 40~80만 원 |
주거 구하는 방법
- 부동산 앱 이용 (직방, 다방, 한방 등)
- 외국인 대상 장기 임대 서비스 이용 (Ziptoss, Goshiwon Korea)
- 네이버 카페(외국인 커뮤니티)에서 정보 교환 가능
📌 TIP: 한국에서는 보증금(보증금 500만 원~5,000만 원)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자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함.
3. 은행 및 금융 서비스
은행 계좌 개설 방법
- 외국인등록증(ARC) 준비
- 여권 및 거주지 확인 서류 제출
- 가까운 은행 방문하여 계좌 개설 신청
📌 추천 은행: 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 (외국인 서비스 지원)
주요 금융 서비스
- 해외 송금: Wise, Revolut, 은행 송금 서비스 이용 가능
- 모바일 뱅킹: 한국 은행 앱에서 간편 송금 및 결제 가능
- 체크카드 & 신용카드: 외국인 신용카드 발급은 일정 체류 기간 이후 가능
📌 TIP: 모바일 결제(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)를 활용하면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음.
4. 의료 서비스 및 건강보험
건강보험 가입 방법
- 장기 체류 외국인은 국민건강보험(NHIS) 가입 필수
- 외국인등록증 발급 후 자동 가입 (월 평균 보험료 10~15만 원)
병원 및 의료 시스템
- 종합병원: 서울아산병원, 삼성서울병원 (영어 서비스 가능)
- 국제 클리닉: 외국인 대상 진료 가능 (강남세브란스 국제진료소 등)
📌 TIP: 감기, 경미한 질환은 동네 의원(내과) 방문 / 응급 시 119로 연락 가능.
5. 교통 및 대중교통 이용
교통카드 (T-money 카드)
-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, 택시) 및 편의점 결제 가능
- 편의점에서 구매 및 충전 가능 (GS25, CU 등)
주요 교통수단
교통수단 | 특징 |
지하철 | 서울·부산·대구·광주·대전에서 운영, 가장 편리한 이동 수단 |
버스 | 광역·시내버스, 카드 사용 시 환승 할인 제공 |
택시 | 카카오T 앱 이용 가능, 기본요금 4,800원 (서울 기준) |
📌 TIP: 지하철 노선 앱(카카오맵, 네이버지도)을 사용하면 길 찾기가 쉬움.
6. 생활 문화 및 유의할 점
한국의 생활 에티켓
- 대중교통에서 통화 자제, 노약자석 비워두기
- 한국은 현금보다는 카드 결제가 일반적
- 식당에서 주문할 때 벨을 누르거나 직접 불러야 함
외국인 커뮤니티 & 활동
- Meetup (언어 교환 및 다양한 행사 참여 가능)
- Facebook 그룹 (‘외국인 서울 모임’, ‘한국에서 영어 가르치기’ 등)
- 한류 &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(한복 체험, 사찰 체험, K-POP 댄스 클래스 등)
📌 TIP: 한국어를 배우면 현지 생활이 훨씬 쉬워지므로 간단한 표현이라도 익히는 것이 좋음.
마무리
한국에서 장기 거주를 계획하고 있다면 비자, 주거, 금융, 의료, 교통, 생활 문화를 미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📍 비자 → 체류 목적에 맞는 비자 선택 (유학, 취업, 거주 등)
📍 주거 → 원룸, 오피스텔, 쉐어하우스 등 다양한 옵션 고려
📍 금융 → 은행 계좌 개설 및 모바일 결제 활용
📍 의료 → 국민건강보험 가입 및 병원 이용 방법 숙지
📍 교통 → 지하철 & 버스 환승 할인, T-money 카드 사용
📍 문화 적응 → 한국 생활 에티켓 이해 및 커뮤니티 활동 참여
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한국에서 편리하고 즐거운 거주 생활을 시작해 보세요!